딥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얼굴인식 딥러닝을 기반으로 주어진 이미지에서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Deepface'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기재하고자 한다. 해당 라이브러리는 깃허브에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접근할 수 있으며, 라이센스 또한 MIT License로 저작권 표시를 명확히 기재한다면 어떤 용도로든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epface의 깃허브 공유 링크는 아래와 같다. GitHub - serengil/deepface: A Lightweight Face Recognition and Facial Attribute Analysis (Age, Gender, Emotion and Race) Library A Lightweight Face Recognition and Facial Attribute..
인공지능 기반 문서 번역 플랫폼 단순히 번역을 하는 것에 있어서는 파파고(Papago)나 구글번역(Google Translate)을 사용하면, 충분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무료로 서비스하는 대화형 인공지능인 ChatGPT-3.5 나 뤼튼(Written)에서도 텍스트 형태의 자료는 충분히 매끄러운 번역을 할 수 있다. 하지만 docx나 ppt, pdf와 같은 문서형식의 파일일 경우에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거나, 유료로 이용을 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하는 DeepL 플랫폼 역시 문서 번역기능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유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최초 회원가입 시 주어지는 3회의 무료 체험 횟수는 차별화된 장점이다. 그래서, 주어지는 무료 체험 횟수를 이용하여 DeepL의 문서 번역 기능을 리뷰..
인공지능이 생성한 글을 판별할 수 있는 기능 Chat GPT, 뤼튼 등 다양한 대화형 챗봇 인공지능이 등장하면서, 인공지능의 글 작성 능력은 상당히 발전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능력을 기반으로 동화나 단편소설을 작성할 수 있을 정도로 검증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대학과제나 자격시험에 인공지능이 악용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이를 방지할 방안도 최근 이슈화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공지능이 생성한 글인지, 사람이 직접 작성한 글인지 판별할 수 있는 사이트를 직접 이용해 본 뒤, 악용을 막을 수 있는 실질적인 효용이 있는지에 대해 작성해보고자 한다. The Checker AI Checker AI 사이트에 회원가입 한 뒤, 메인 사용 페이지이다. 좌측 텍스트 입력 부에 판별하고자 하는 글을 기입..
ideogram 일반적인 AI 기반 이미지 생성 플랫폼은 글자를 출력하는 것에 많이 취약하다. 실제로 임의의 문구를 적힌 물건이나 표시 등을 명령 프롬프트에 기재하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구 기재에 능한 'ideogram'에 대해 리뷰하고자 한다. Ideogram ideogram에 접속하면 구글계정으로 회원가입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구글계정으로 가입을 진행한다. 이용 서비스 약관에 대해서 동의여부를 확인하는 페이지이다. 확인 후 Continue 버튼으로 넘어간다. 쓰고자 하는 닉네임을 기입한다. 본격적인 이용화면이 나타난다. 상단의 텍스트 입력창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문구기재에 특화된 플랫폼인 만큼, 문구가 적힌 물건이 등장하도록 명령어를 작성했다. "Go l..
가상인물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플랫폼 가상 인물의 사진을 무료로 생성할 수 있는 플랫폼, 'This Person Does Not Exist'에 대해 기재하고자 한다. 플랫폼의 이름처럼 제공되는 인물의 사진은 실존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이미지 수정이나 사용에 있어서 자유롭다. This person does not exist https://this-person-does-not-exist.com/en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위와 같이 인물사진과 3개의 옵션창을 볼 수 있다. 3개의 옵션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 뒤, Refresh Image 버튼만 클릭하면, 간단히 가상인물의 이미지가 생성된다. ThisPersonDoesNotExist - Random AI Generated Photos of Fake Perso..
뤼튼으로 코딩하는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는 뤼튼에 대해 소개와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다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뤼튼을 사용해서 코딩을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활용방안에 대해 기재한다. 전문적이고 이론적 개념의 설명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현하고자 하는 간단한 코드도 얻어낼 수 있다. 이론 질문 컴퓨터 공학을 학습하다 보면, 컴퓨터 내부의 구조와 작동원리에 대해 접하게 된다. 컴퓨터에 대해 공부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개념용어인 '스택프레임(StackFrame)'에 대해 질문해 보았다. 컴퓨터 구조와 메모리에 관련되어 이론적인 내용을 출력해 준다. 네이버와 구글에 검색결과와 교차검증했을 때, 대부분 정확한 정보임을 알 수 있다. 코드 구현 명령프롬프트 창에 구현하고자 하는..